|
1. 배경
o
국제적으로 다국어도메인 서비스를 위한 표준화
작업이 진행되고 있고, 아·태
국가NIC은 자국어도메인 서비스를 제공 또는
제공 예정이므로 우리나라도
이 활동에 적극 참여 필요 -
1998. 4월 APNG (Asia Pacific Networking
Group)에서 다국어도메인 서비스
(iDNS : international Domain Name Service)
개발 프로젝트 수행 -
1999년 하반기부터 APNG에서 개발한 iDNS를
민간업체 (싱가폴 : iDNS.net)로 이관하여
아·태지역에 상용화·확산을 추진하고 있음
- 1999.
11월 제46차 IETF 회의에서 처음으로 다국어지원
도메인네임시스템에 대해
논의를 시작하였으며 WG(워킹그룹)를 구성하여
국제 표준화 추진 중 -
2000. 6월 서울에서 다국어도메인 서비스 시행관련
논의를 위하여 MINC (Multilingual
Internet Names Consortium)를 구성한 후 현재
정책 및 기술관련
이슈를 논의 중 -
한국, 중국, 일본, 대만 NIC은 자국어도메인
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하기
위하여 JET(Joint Engineering Team) 구성하여
기술적 사항을 논의 중 -
중국은 2000년 11월 자국어도메인 서비스를
시작하였으며, 일본은 2001년도 4월
자국어도메인 서비스 시행 예정 ※
등록업무는 시행 또는 시행예정에 있으나,
DNS서비스 시행은 불확실함 -
베리사인GRS는 2000년 11월 한글.com 등록서비스
개시 ※
베리사인에서 발표한 한글.COM의 DNS서비스
추진계획(안)은 기술동향 참조
한글.kr 등록 테스트 바로 가기
2. 목적
o
국내 인터넷 도메인이름 체계에 한글을 도입하여
인터넷 이용자에게 편의 제공
o 한글도메인 도입에 필요한
기술 개발을 토대로 국제 인터넷 표준 제정에
기여
o 한글도메인 정책 개발 과정에
국내 네티즌의 참여를 유도하여 국내 인터넷
정책 결정체제
정립
한글.kr 등록 테스트 바로 가기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