인터넷 산업이 활성화 됨에 따라 도메인 이름의 남용 및 악용이 문제시 되고 있습니다. 예를 들어 도메인 이름 등록 시 일부 도메인 소유자는 신뢰성 있는 연락처 정보로 등록하지 않습니다. 따라서 도메인 이름 남용 및 악용 사용의 경우 본 도메인 사용자에 대한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며 피싱같은 불법 온라인 행위를 저지른 가해자를 잡는 것도 힘이 듭니다.
도메인 이름의 남용 및 악용을 방지 하기 위한 등록기구(Registry) 및 등록기관(Registrar) 간의 표준적인 논의가 현재 없는 상태입니다. 특히, ICANN 은 후이즈 정보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유지하는 방법을 위해서 고군분투 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도메인 등록 규정에 대한 논의가 현재 ICANN 제37차 회의 3일차에서 주요 논쟁 사항이 되었습니다.
등록 남용 및 악용 정책 워킹그룹 (WG) 의장인 Greg Aaron 은 본 그룹의 초안 리포트를 ICANN 참석자에게 제출하였습니다. Aaron은 ICANN 이 인터넷상에 대한 정책만이 아닌, 도메인 이름 남용 및 악용 사용 부분을 제지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하였습니다. 더욱 중요한 것은 본 워킹그룹에서 도메인 이름 남용 및 악용 사례를 해결하는데 사용하는 최상의 실행론을 결정하기 위해 등록기구와 등록기관 간의 광범위한 조사가 필요 하다고 논평하였습니다. 최상의 실행론에 대한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등록기구 및 등록기관간에 도메인 이름 남용 및 악용에 대한 문제 처리를 돕는 다른 대안을 찾아야 합니다.
[워킹그룹이 리포트에서 제안하는 도메인 남용 및 악용 사례 및 해결방안]
1. 사이버스쿼팅 : UDRP (통일 도메인 분쟁해결) 부분을 PDP (policy development process- 정책개발과정)로 산정하는 것
2. 후이즈 접근성 문제 :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
3. 프론트 러닝(Front-running) : ICANN Compliance (ICANN 준수 사항)에 의한 강화 조치
4. 거짓된 연장 공지
5. 기만적이거나 또는 공격적인 도메인 이름
이번 ICANN 제37차 정례회의의 구체적인 사항은
아래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* ICANN 제37차 정례회의 공식 웹사이트 : http://nbo.icann.org |